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카오TV 개미는 뚠뚠 재무제표 보는 법 총정리

by jinojinoya 2021. 5. 4.
반응형

카카오TV에서 주식 공부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개미는 오늘도 뚠뚠이라고 하는데요. 저처럼 주린이 분들을 위해 주식을 제대로 하는 법을 가르쳐줍니다.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 1에서 멘토가 가르쳐 주는 재무제표 보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TV를 켜고 '개미는 오늘도 뚠뚠' 검색해서 보셔도 되고 넷플릭스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단, 카카오TV에서 무료로 볼 수 있는 것은 유튜브처럼 짧은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Full 영상을 볼려면 카카오TV 나 넷플릭스는 모두 유료입니다.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1 7화부터 8화까지 재무제표 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개미는 뚠뚠 재무제표 보는 법


금융의 중심지인 63빌딩에 도착한 멘토들과 개미들은 지난 시간 배운 PER외에 재무제표 보는 법을 가르쳐달라고 합니다. 여러 증권사 앱의 종목들마다 나오는 기업 재무제표를 보고 있으면 어려운 용어들과 무엇을 봐야하는지 모르는 주린이들은 머리가 지끈거리기도 합니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때는 기업의 본질적인 부분인 이익이 나느냐 안나느냐가 중요합니다. 그러면 먼저 재무제표의 당기순이익을 봐야합니다. 


당기순이익이란?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수익에서 총 비용을 제한 순수한 이익금


슈카는 하나의 기업을 예시로 영업이익이 3조 원이 발생하였다며 어떤 회사냐고 묻자 당연 삼성전자라고 외치는 노홍철씨. 삼프로 멘토께서 삼성전자는 3개월동안의 영업이익이 7~8조 정도된다고 합니다. 그러자 딘딘이 현대자동차 라고 외칩니다. 역시 눈치가 빠른 딘딘입니다. 

 

현대자동차의 영업이익 추이를 보면 (촬영일이 2020년 기준)

 

2017/12 - 4,574.67

2018/12 - 2,422.16

2019/12 - 3,605.51

 

최근 3년동안 변동이 큰 편입니다. 일단 3년동안의 현대자동차의 재무제표로 이익의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8년 당기순이익이 2조 4천억원에서 2019년 당기순이익이 3조 6천억원으로 증가했다는 사실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재무제표를 보면 이익이 적자인 경우가 있지만 기업에 따라 흑자로 전환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재무제표 상에 흑전, 적전이란는 말을 볼 수가 있는데요. 


흑전이란?

적자였던 회사가 흑자로 전환된다

 

적전이란?

흑자였던 회사가 적자로 전환된다


흑전이 중요한 모멘텀인 것이 꿈과 비전만 있던 회사에 흑자로 전환이 되면서 이익이라는 실체가 생긴 것입니다. 딘딘과 김종민이 물려있는 테슬라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테슬라가 2020년엔 엄청나게 이익이 창출되었었죠. 흑자 전환 여부는 굉장히 주의 깊게 보셔야 됩니다. 

 

그리고 매출액 증가율, 순이익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또한 3년동안 비교할 수 있도록 증가추이를 비율로 나타내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증가율 추이를 보면 이익이 줄었다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는데 자동차 종목이 경기를 타는 대표적인 경기관련주입니다. 

 

경기 민감주는 대표적으로 철강, 조선, 반도체 섹터 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이 주식관련해서 물을 때 이런 표현을 쓴답니다. 

"자동차 경기 어때?" "요즘 철강 경기는?" 


※ PER 과 PBR ?

PER = 순이익

PBR = 주가 순자산 비율

 

PER이 순이익으로 주가가치를 평가한다면 PBR은 장부가격으로 주가의 가치를 평가한다는 뜻입니다. 즉, 자산 대비 얼마에 팔리는 가가 PBR입니다. 


PER 11.20 은 현대 자동차의 시가 총액과 11년치 순이익이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를 1년에 1억 버는 현대 치킨집이라고 가정할 때 이 가게를 얼마에 팔까요?

 

PER = 1이면 1년에 1억을 벌어들이는 것이니 굉장히 저평가 되어 있겠죠. 누구나 가치가 굉장히 높은데 평가가 낮아서 서로 사들일려고 할 것입니다. 현대 치킨집이  PER = 11.20 일 때 순이익 1억인 치킨 집을 11억에 사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현대 치킨집의 모든 자산이 1억이라면 PBR = 0.47일 때 4700만원에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치킨집 자산이 1억인데 4700만원에 살 수 있다면 당연히 사야겠죠. 


※ EPS

 

EPS는 주당 순이익으로 한 주당 순이익이 얼마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현대치킨집이 1년에 1억을 번다는데 현대치킨집 주식이 10개라면 각 한 주당 순이익을 알 수 있습니다. EPS가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는 뜻이겠죠. 내가 현대치킨집 주식을 5개 보유하고 있으면 그 가치가 높아야 이익을 얻을 수 있으니깐요. 하지만 순이익이 많아도 발행 주식 수가 많으면 EPS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 ROE (%)

ROE 는 Return On Equity 의 약자로 자기자본 순이익입니다.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벌었는지를 퍼센트로 표시한 것입니다. 자기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 자기 자기돈입니다. 


치킨집에 5억을 투자했는데 1년에 1억의 이익이 발생했다면 ROE 는 20% 입니다. 그래서 ROE가 높을 수록 투자자에게 좋은 것입니다. 만약 ROE 가 0.XX%라면 치킨집에 투자를 하느니 차라리 은행에 넣어두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ROE는 이런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어 주는 좋은 지표입니다. 

 


※ EV/EBITDA (%)

EV : 기업가치 (Enterprise Vaue)

EBITDA : 현금창출능력

 

실무에서는 이브이에비타라고 부르고 EV를 EBITDA로 나눈 값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입니다.


지금의 현금창출능력으로 해당 기업을 사는데 몇 년이 걸리느냐는 뜻입니다. 대략 현금 흐름만 있는 어떤 영업이익이다라고만 이해하면 됩니다. PER하고 거의 비슷한 개념인데 부채까지 포함해서 생각을 하고 영업 이익이 약간 다르다라고 이해하세요. 

 

개미는 뚠뚠에서 배운 제무제표 보는 법을 배웠으니 마지막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친절하게도 방송에서 요약정리를 해줬습니다. 

 

PER → 낮을수록! 순이익으로 시가총액을 빨리 커버함

PBR → 낮을수록! 장부가치 대비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된다

EPS → 높을수록! 한 주당 순이익이 많다는 뜻

ROE → 높을수록! 자기 자본으로 더 많은 이익을 냄

EV/EBITDA → 낮을수록! 빠른 시간에 회복할 수 있는 년수.


여기까지가 개미는 오늘도 뚠뚠 7회부터 8회까지 재무제표 설명을 마무리하였습니다. 다음에는 제가 가장 궁금해하는 공모주에 관련된 이야기인데요. 개미는 오늘도 뚠뚠 8회 공모주 기대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