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차트 보는 법
- 양봉과 음봉 -
주식 차트를 볼 때마다 빨갛고 파란 기둥이 늘어서 있고 여러 알 수 없는 숫자들과 금액이 수시로 변하는 그래프를 보고 절대 주식은 못할 것 같다는 투정을 부리곤 했습니다. 하지만 주식을 하려면 차트를 알아야겠죠. 그럼 주식 차트 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차트의 기본은 바로 이 기둥과 막대기입니다. 빨간 기둥과 파란 기둥에 꽃힌 막대기 모두 의미가 있었습니다. 주식 차트를 볼 때는 주가를 보는 것이 아니라 거래량을 보는 것입니다. 그럼 차트의 기본인 양봉과 음봉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주식 차트 양봉 (빨간 막대)
주식차트에서 빨간 막대를 양봉이라 부릅니다. 양봉은 시가와 종가를 나타내는데 시가는 거래시작 가격을 말하고 종가는 거래종료 가격을 말합니다. 그리고 막대기가 꽂혀 있는데 맨 위 꼭지를 최고가라하고 맨 아래 꼭지를 최저가라합니다.

양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더 높게 끝나는 경우를 말하고 붉은 색으로 표시 됩니다. 예를들면, 시가가 1,000원이고 종가가 1,200원이면 시가 1,000원에서 종가 1,200원으로 끝난 그래프입니다. 그리고 최고가 1,300원, 최저가 800원이라고 하지요.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양봉 그래프와 또 다른 장대양봉이란 것이 있습니다. 장대양봉은 최고가와 최저가가 시가와 종가가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즉, 막대기가 없는 그래프입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크게 상승하여 끝났고 매수 에너지가 강한 상태를 말합니다.
주식차트 음봉 (파란 막대)
주식차트에서 파란 막대를 음봉이라 부릅니다. 시가보다 종가가 더 낮게 끝나는 경우로 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양봉에서 설명한대로 시가, 종가, 최고가, 최저가로 알 수 있습니다. 양봉과는 반대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시가가 1,000원, 종가가 800원, 최고가 1,200원, 최저가 500원일 때 음봉은 시가가 1,000원으로 시작해서 종가 800원으로 끝났습니다. 그리고 음봉에도 장대음봉이 있습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크게 하락하여 끝난 경우죠.

장대음봉 시가 1,400원으로 시작해서 종가 1,000원으로 끝났는데 시가와 최고가, 그리고 종가와 최저가가 같습니다.

주식차트에서 장대음봉이 났을 때 그 길이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위에 언급했듯이 그 시각 거래량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장대음봉인데 거래량이 치솟으면 바로 매도해야 되는 순간인 것이죠.
주식차트 보는 법에서 양봉과 음봉을 보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좀 더 공부를 해서 더 많은 정보들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댓글